안녕하세요. 현직 편집자로 일하고 있는 [애정 에디터]입니다.
할지 할 지? '지'를 언제 붙여서 써야 하고 언제 띄어쓰기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저는 평소에 예능 프로그램 보는 걸 좋아하는 편인데요. 예능 프로그램 자막에서 '지' 띄어쓰기 틀리게 사용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던 기억이 납니다(직업병....). 의외로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잘 외워두시길 바라겠습니다.
data-ad-unit = "DAN-sohwcteih0td"
[연습문제]
1. 남자친구와 헤어진지 일주일이 됐다.
2. 남자친구와 헤어진 지 일주일이 됐다.
정답은 <2번. 헤어진 지 일주일이 됐다.>입니다.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.
1. ~한 지 : 시간을 나타내는 '지'는 띄어쓰기
그때부터 지금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는 의미일 때는 띄어쓰기 해주세요. 위의 [연습문제]에서 '헤어진 때로부터 지금까지 일주일이 됐다'는 의미이기 때문에 '헤어진 지'처럼 '지'를 띄어쓰기 해야 맞는 표현입니다. 시간을 나타내는 '지' 뒤에는 한 시간, 하루, 몇 년 등 시간이 뒤따라 오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.
예문1) 영어 공부 시작한 지 이제 한 달 됐어.
공부를 시작한 때로부터 지금까지 한 달의 시간이 흘렀다는 의미입니다. 시간을 나타내는 '지'이므로 띄어쓰기 합니다.
예문2) 그는 고향을 떠난 지 20년도 넘었다.
마찬가지로 고향을 떠날 때로부터 20년이 넘었다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므로 '지'를 띄어쓰기 합니다.
2. 그 외 '지'는 모두 붙여쓰기
시간을 나타내는 '지'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'지'는 붙여 쓰시면 됩니다. 그 외의 '지'의 쓰임은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.
예문1) 할지 말지 네가 알아서 결정해.
상반되는 사실을 대조적으로 나타내는 연결어미로 '지'가 쓰일 수 있습니다. '할지'와 '말지'가 대조되고 있지요?
예문2) 혼자 고민하지 말고 나한테 얘기해.
부정하거나 금지할 때 연결어미로 '지'가 쓰일 수 있습니다. 이 경우는 보통 ~지 않고, ~지 못하고, ~지 말고 처럼 앞말에 '지'를 붙여서 사용합니다.
이 두 가지 '지' 쓰임을 완벽하게 이해할 필요는 없습니다. 시간을 나타내는 '지'는 띄어쓰기 한다는 것만 확실히 외우고, 나머지는 전부 붙여 쓰시면 됩니다.
[실전문제]
1. 졸업한 지 20년이나 지났네.
2. 졸업한지 20년이나 지났네.
정답은 <1번>입니다. 졸업한 때로부터 지금까지 20년이 지났다는 시간을 나타내는 문장이기 때문에 '지'를 띄어쓰기 하는 것이 올바른 맞춤법입니다.
data-ad-unit = "DAN-sohwcteih0td"
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<한지? 한 지?>가 헷갈릴 때는 한 지(시간을 나타내는 '지')가 맞고, <할지? 할 지?>가 헷갈릴 때는 시간을 나타내는 '지'가 아니기 때문에 할지 붙여쓰는 것이 맞습니다.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만 요약!! 시간을 나타내는 '지'만 띄어쓰기 하고, 나머지는 전부 붙여서 쓰세요.
[하는데 하는대] 뭐가 맞지?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구분 (0) | 2020.03.23 |
---|---|
[된대 된데/안 된대 안 된데] 뭐가 맞을까? 헷갈리는 맞춤법 구분 (3) | 2020.03.22 |
[함으로써 함으로서 함으로 하므로 하므로서 하므로써] 도대체 뭐가 맞나? 완벽 구분 (0) | 2020.03.21 |
[왠지 웬지/왠일 웬일 차이점] 헷갈리는 맞춤법 뭐가 맞을까? (0) | 2020.03.21 |
[로서 로써/함으로서 함으로써] 차이점과 구분법 (0) | 2020.03.21 |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