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현직 에디터로 일하고 있는 [애정 에디터]입니다.
빨리 나으세요? 빨리 낳으세요? 빨리 낫으세요?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에 하나인데요. 문자나 카카오톡에서 굉장히 자주 쓰는 표현이기도 합니다. 왜냐면 대화를 하다가 상대가 아프다고 하면 쾌차하기를 바라며 이 말을 하기 때문이에요. 나으세요? 낳으세요? 낫으세요? 헷갈리는 맞춤법 어떻게 써야 하는지 구분해보겠습니다.
감기 빨리 나으세요 (O)
아픈 상태가 좋아지길 바라지길 바라는 말을 할 때는 '나으세요'가 맞습니다. 동사 <나아지다>는 <어떤 일이나 상태가 좋아지다>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.
예문1) 빨리 나아지시길 바라겠습니다.
예문2) 잘 먹고 잘 자서 얼른 나으세요.
아플 때 좋아지는 것 외에도 동사 <나아지다>는 형편이 나아지다, 얼굴이 나아지다 등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'낳다'와 '낫다'는 어떨 때 쓰일까요?
낳다 : 출산하다
아이를 출산할 때 '낳다'라는 표현을 씁니다.
예문1) 아이 건강하게 낳으시길 바랍니다.
예문2) 내가 어떻게 이런 아들을 낳았을까!
낫다 : 병이 고쳐지다
'병이 고쳐지다'라는 뜻은 <나아지다>와 <낫다>가 똑같은 것 아닌가요? 네, 맞습니다. 여기서 조금 헷갈릴 수 있으니 집중이 필요합니다. <나아지다>는 <낫다>+<~아지다>가 합쳐진 말입니다. 따라서 엄밀히 말하자면 <나아지다>의 본래 기본형이 <낫다>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그러니까 두 동사가 의미가 거의 비슷한 거죠. 동사 <낫다>가 변형되는 형태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 국어사전에 따르면 <낫다>는 <나아>, <나으니>, <낫는>,<낫지>로 변형됩니다. 예문으로 살펴볼까요?
예문1)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.
예문2) 감기가 낫는 것 같더니 다시 심해졌다.
예문3) 간염은 잘 낫지 않는 병이다.
<나아>로 쓰일 때는 나 아래 시옷 받침이 없고, <낫는>으로 쓰일 때는 시옷 받침이 있습니다. 동사 <낫다>를 바르게 사용하려면 조금 헷갈리는 변형 형태를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.
참고로 <낫다>는 '병이 고쳐지다' 외에도 '비교했을 때 더 좋다'라는 의미가 있습니다. <형보다 동생이 인물이 낫다.>처럼 쓰입니다. '비교했을 때 더 좋다'로 쓰일 때도 동사 변형은 동일하게 <나아>, <나으니>, <낫는>, <낫지>로 합니다.
요약하자면 <감기 빨리 나으세요>는 <나아지다> 동사이므로 <나으세요>가 맞다. 그런데 <나아지다>는 <낫다+~아지다>가 합쳐진 것이다. 따라서 병이 고쳐진다는 의미는 같다. 다만, <낫다>를 사용할 때는 동사 변형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. <나아>, <나으니>, <낫는>, <낫지>로 변형된다. +<낳다>는 출산하다라는 의미이므로 헷갈리시면 안 돼요!
[실전문제]
1. 연고 덕분에 상처가 빨리 나았다.
2. 연고 덕분에 상처가 빨리 낫았다.
정답은 <1번>입니다. <낫다> 동사는 <나아>로 변형됩니다.
1. 감기가 빨리 낫지 않네.
2. 감기가 빨리 낳질 않네.
정답은 <1번>입니다. <낫다>는 <낫지>로 변형됩니다. <낳다>는 출산하다라는 의미입니다.
[안되 안돼/안되요 안돼요] 뭐가 맞을까? 헷갈리는 맞춤법 구분 (0) | 2020.03.28 |
---|---|
[그중에 그 중에/그외에 그 외에] 헷갈리는 띄어쓰기 알아볼게요~ (0) | 2020.03.27 |
[뵈요 봬요/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/뵐게요 봴게요/뵈어요 봬어요] 맞춤법 완벽 구분 (0) | 2020.03.24 |
[하는데 하는 데/한데 한 데] 맨날 헷갈리는 '데' 띄어쓰기 완벽 정리 (0) | 2020.03.23 |
[하는데 하는대] 뭐가 맞지?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구분 (0) | 2020.03.23 |
댓글 영역